티스토리 뷰
목차
아직 건강에 자신 있더라도 방심은 금물입니다. 2025년 변경된 국가 암 검진 기준에 따라 주요 암을 조기에 발견할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. 아래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 암 검진 기관 조회하셔서 대상자와 검사 방법을 지금 바로 확인하고 소중한 건강을 지키세요!
국가 암 검진이란?
국가 암 검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시행하는 공식 암 조기 발견 프로그램입니다. 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율이 높아지기 때문에, 일정 연령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무료 또는 소액으로 암 검진을 제공합니다.
2025년 국가 암 검진 대상자 정리
2025년 기준,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국가 암 검진 대상자가 됩니다.
- 위암: 만 40세 이상, 2년마다 검진
- 대장암: 만 50세 이상, 매년 분변잠혈검사(이상 시 대장내시경)
- 간암: 40세 이상 중 간염보균자, 간경변증 등 고위험군 (6개월마다 초음파+혈액검사)
- 유방암: 만 40세 이상 여성, 2년마다 유방촬영술
- 자궁경부암: 만 20세 이상 여성, 2년마다 자궁경부세포검사
- 폐암: 54~74세 고위험군(30년 이상 흡연 경력자), 2년마다 저선량 CT
※ 단, 암 검진 항목별로 나이와 검사 주기 기준이 다르니 본인 대상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국가 암 검진 방법 및 절차
국가 암 검진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.
-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송하는 검진 안내문 확인
- 공단 지정 암검진기관에 예약 후 방문
- 검진(위내시경, 분변잠혈검사, 초음파, 저선량CT 등 해당 검사 시행)
- 검진 결과 통보(검진기관 또는 건강보험공단)
- 이상 소견 시 정밀검사 및 치료 연계
검진 결과는 15일 이내 확인할 수 있으며, 이상 소견이 나올 경우 추가 정밀검사를 통해 암 진단 여부를 확정하게 됩니다.
암 진단 시 국가 지원제도 안내
만약 암 검진 결과 암 진단을 받게 되더라도, 국가에서는 다양한 의료비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- 암환자 산정특례제도: 암 진단 등록 시 치료비 본인부담금이 5%로 줄어듭니다.
- 저소득층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: 일정 소득 이하 가구에 암 치료비 일부 지원
특히 암환자 산정특례제도는 모든 국민에게 적용 가능하며, 진단 후 5년 동안 본인부담금을 대폭 낮출 수 있어 실질적인 의료비 부담을 크게 덜어줍니다.